USMLE 란?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각각의 시험별 주관기관
|
Step 1 |
Step 2 |
Step 3 |
미국의대생 |
NBME |
NBME |
FSMB |
IMG |
ECFMG |
ECFMG |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국출신 의사의 의사시험(USMLE)을 주관하기 위해 생긴 기관
|
Step 1 |
Step 2 |
Step 3 |
미국의대생 |
95 |
95 |
95 |
미국 재수생 |
51 |
55 |
65 |
IMG |
62 |
56 |
56 |
IMG 재수생 |
32 |
32 |
41 |
시험 점수는 두자리 혹은 세자리 숫자로 표현되어 리포트된다. 세자리 숫자로 140-260점 사이가 대부분이다. 미국 의대생의 평균은 200-220점 사이라고 한다. 1 표준 편차당 20점이고 두자리로 75점, 세자리로 180점정도가 합격선이며 합격선은 주기적으로 변동이 된다. 이는 시험의 난이도에 따라 비슷한 pool의 문제를 푼 사람들의 성적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외국인 지원자입장에서는 합격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고득점(두자리로 90점, 혹은 세자리로 230점 이상)을 맞도록 노력해야 한다. 미국의대 출신과의 레지던트 지원 경쟁을 위해서는 아무래도 고득점이 인터뷰 받고 매치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요즘은 점수의 인플레이션이 심해져서 각 병원마다 고득점자들의 지원이 넘쳐난다고 한다. 하지만 고득점은 자신의 조건을 돋보이게 하는 용도일뿐 좋은 병원에 갈 수 있는 보증수표도 아니며 반대로 낮은 점수라도 다른 측면의 경쟁력을 보강하여 좋은 프로그램에 매치될 수도 있는 만큼 점수만이 모든 것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
시험에서 묻는 내용
스텝1시험은 기초의학 전반을 묻는다
|
Step 1 |
Step 2 CK |
Step 2 CS |
Step 3 |
Test 내용 |
Basic science |
Clinical science |
Clinical skills |
Clinical activity with patient |
문항수 |
350 |
370 |
10 SP (standardized patients) |
480 + 9 case |
시험 시간 |
7 blocks (60 minutes each) of 50 questions |
8 blocks (60 minutes each) of 47 questions |
15 minutes per patient encounter, 10 minutes to write notes for each |
Total 16 hrs for 2ds. 10+4 blocks, 9 CCS cases |
주관 |
ECFMG |
ECFMG |
ECFMG |
FSMB |
Sponsor |
NBME, FSMB |
본 내용은 제가 강의를 목적으로 2003년 처음 제작한것으로 2007년 확인된 정보를 바탕으로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혹시 정정해야 할 내용이 있으면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미국의사시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ECFMG(r) Reporter (Issue 128 - March 24, 2008) (12) | 2008.03.27 |
---|---|
미국 병원 당직 시스템의 이해 (10) | 2007.12.17 |
미국의사 시험(USMLE)는 어떤 것인가? (16) | 2007.12.14 |
2009년 미국 레지던트 지원자들은 서두르세요 (1) | 2007.12.06 |
초보자를 위한 미국 레지던트 병원 지원 입문 (5) | 2007.12.05 |
미국 병원 지원 전에 알아야 하는 개념들 (Prematch, Cateorical vs. Peliminary, 병원 선택 등) (2) | 2007.12.02 |
요즘 선생님 글 보면서 앞으로 영어 공부 계획을 잡고 있습니다. 어떤 교재가 좋을지 (초급) 혹 추천해주실 만한 것이 있는지요?
아리랑 TV 뉴스정도로 시작하면 어떨까하는데요. 혹시 교재가 시중에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냥 많이 듣는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니고 텍스트와 테이프를 가지고 많이 듣고 그리고 읽어야하거든요.(큰 목소리로) 근데 주위에서 이상하게 생각하는 것은 감수하셔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영어공부하면서 큰 소리로 읽는 사람이 별로 없거든요.
비밀댓글입니다
학생때는 학점관리와 영어공부에 전념하실것을 권합니다. 그리고 나중에 차근차근 계획을 세우세요. 1월중에 학생을 위한 글을 한번 올리겠습니다. 드라마를 이용한 영어공부에 대해서도 글을 올리지요. 저도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습니다. ^^;;
비밀댓글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아. 네. 방문해줘서 고맙습니다. 많은 것을 얻어가세요. 비록 차린 밥상은 부실하지만..
제 짝도 이거 준비하는데 생각보다 점수가 안나와서 너무 우울해 하더라구요.
(그럴만도 한것이 지금 준비 1년째 인데...며칠전에 온라인으로 해봤더니 70점...뚜둥!!)
일반외과지망인데 저 점수로는 힘들겠죠?...옆에서 수발드는 사람도 다 힘들어지는 시험!!
일단 온라인 시험은 실제 시험보다 훨씬 어렵습니다.
그러니 너무 절망하지 말라고 해 주고요....
온라인 70점이면 합격 자체에는 문제가 전혀 없다고 봅니다.
공부 기간이 너무 긴것 같네요... 너무 길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문제에 대한 감이 없어집니다.
그리고 외과 지망이면, 리서치 등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이렇게 도움을 주셔서 아주 좋네요. ^^
비밀댓글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솔직히 고생을 왜 사서 하는가 하고 남들이 이해를 못할 것입니다. 저도 한국에 기반이 잘 잡히신 분 보다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분들의 미국행이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만 뭔가에 목적을 두고 열정을 불태우는 것도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련 정보는 아마 웹서핑으로 많이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만 혹시 미국에 오셨을때 기대와 현실이 많이 달라서 후회하시는 일이 없도록 미국의 실상을 알고 오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관련 정보는 usmle로 포털에서 검색하시면 구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저에게 묻고 싶은 것이 있으시면 공지사항의 연락처로 연락을 주셔도 좋습니다.
선생님의 새로운 도전에 행운을 빌어드립니다.
비밀댓글입니다
유럽에서 의사면허를취득한후 usmle를 보는것과
한국의사면허를취득한후 시험을 보는것과
차이점이 뭐가있을까요?
꼭 답변주시면 감사해요.ㅠㅠ
비밀댓글입니다